분류 전체보기 280

미목 이효상 작가 강연 요지/ 일상이 콘텐츠가 되는 법

일상이 콘텐츠가 되는 법 평범한 일상이 콘텐츠가 되는 법은 이 시대에 매우 적절하고 흥미로운 주제다. 우리는 종종 우리의 일상이 특별하지 않다고 생각하고, 다른 사람들에게는 흥미로울 것이 없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사실은 우리 모두가 독특하고 특별한 경험을 가지고 있는데 이를 통해 다른 사람들에게 영감과 도움을 줄 수 있다. ​그중에 관찰을 통한 설득력 있는 글쓰기를 통해 평범한 일상을 콘텐츠로 만들 수 있다. 이를 위해 몇 가지 핵심 요소를 고려하면 좋을 듯 하다. 첫째, 자신의 경험과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기다. 독자들은 진정성과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를 원한다. 자신의 경험과 감정을 솔직하게 전달하면 독자들은 당신의 이야기에 공감하고, 감동할 것이다. 둘째, 스토리를 흥미롭게 구성하기다. 독자들의 관..

카테고리 없음 2016.06.10

함께 하시므로 / 미목 이효상 작가

함께 하시므로미목 이효상 작가의 사진 작품 '아파트 가는 길'​     함께 하시므로                                       미목 이효상​낮선 땅낮선 사람들머물 수없는 유랑에침묵으로 함께 하시었습니다​타는 영혼의 목마름에넉넉한 생수를 챙기주시고긴 허무의 여울 위에도삶의 뜻을 알게 하는하얀 부표를 띄우셨습니다​가고 가고 또 떠나 가고그러다 폭풍인 세월에 떠 밀려베인 나무처럼 쓰러질 때면시린 등에 닿던 따뜻한 손길​한 겨울의 혹한과한 여름의 폭염같은그런 생의 황무지를지팡이 없이 지날 수 있었던 것은불변의 인내로 동행하시는님의 발자욱 소리를 듣기 때문입니다.

카테고리 없음 2016.06.10

빈의자 / 미목 이효상 작가

빈의자                                     미목 이효상​빈의자는 항상 그 자리에 있지누군가를 기다리면서아무 말도 없이 조용히 기다리고 있어떠나간 그 사람이 돌아올 때까지.​빈의자는 그 사람을 위해 항상 준비되어 있지그 사람이 앉을 자리를 비워두고 말이지빈의자는 그 사람을 기다리고 있어떠나간 그 사람이 다시 앉을 자리를 비워두고. 빈의자는 그 사람을 항상 그리워하고 있지그리움이 마음에 닿아 그 사람이 돌아올 때까지빈의자는 그 사람을 그리면서떠나간 그 사람이 돌아온다는 믿음을 가지고.​빈의자는 그 사람을 항상 기다리고 있지반드시 그 사람이 돌아올 때까지빈의자는 그 사람을 위해 사시사철 기다리고 있어떠나간 그 사람과 함께 할 시간을 비워두고.  [출처: 서울신문에서 제공하는 기사입..

카테고리 없음 2016.06.10

오장환의 '병든서울'을 미목 이효상 작가가 논하다

오장환 의 병든 서울 오장환 시인, 1918년 충청북도 보은에서 태어난 그는 휘문고등보통학교 다닐 때 정지용 시인에게서 시를 배웠으며, 학교 교지 '휘문'에 '아침' '화염' 등을 발표하였고, 1933년 조선문학>에 '목욕간'을 발표하면서 문단에 등단하였다. 그는 초기에 1930년대 시지『낭만』,『시인부락』,『자오선』등의 동인으로 활동하며 당시 모더니즘의 영향을 받았다. 그는 백석, 이용학과 더불어 1930년 후반 대표시인 가운데 하나였다.그는 1937년에 『성벽』, 1939년에『헌사』, 해방후 1946년에『병든 서울』, 『나 사는 곳』(1947) 등의 시집을 내며 당대 ‘천재시인’이라 불렸다. 그의 작품은 ‘병든서울’ , ‘나사는 곳’ ‘헌사’ 등은 당대 최고의 평가를 받기도 했다. 그의 작품중 세번째..

카테고리 없음 2016.06.10

글에 대한 단상 / 미목 이효상 작가

글은 바로 그 사람입니다.쓴 글을 보면 그 사람이 어떤 사람인가 짐작할 수 있습니다.글에는 그 사람의 관점, 성품, 지적능력 등이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진솔함을 담은 글쓰기 만큼 신뢰를 주는 건 없습니다.한 편의 시를 읽으며 깊은 생각에 빠져들고한권의 소설을 읽으며 끝 없는 상상속으로 빠져 듭니다.이처럼 문학은 우리의 생각과 감정을 뒤흔드는 마력이 있습니다.인류 역사의 발전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은 언어와 문자입니다.새들도 노래하고 춤을 춥니다.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 동물들의 삶도 한편의 드라마입니다.그러나 시를 쓰고 소설을 쓰는 것은 인간만이 할 수 있는 최고의 가치입니다.건강한 사회와 인간다운 삶을 유지하는 가장 소중한 자산으로 종교와 문화를 말합니다. 종교나 문화에 거는 기대가 있습니다. 그중에서 ..

카테고리 없음 2016.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