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한글, 위대한 활자의 탄생과 발견 그리고 전파/ 미목 이효상 작가칼럼

이테리우스 2021. 9. 16. 13:35

 

한글, 위대한 활자의 탄생과 전파

 

575돌을 맞는 한글날을 맞는다. 세종대왕이 반포한 한글의 우수성을 기리며, 그 고마움을 마음에 새기는 날이다. 세계에 이런 문자는 없었다. 세계 문자 가운데 ‘한글’, 특히 ‘훈민정음’은 흔히들 신비로운 문자라 부르곤 한다. 그것은 세계 문자 가운데 유일하게 한글만이 그것을 만든 사람과 반포일을 알며, 글자를 만든 원리까지 알기 때문이다. 한글은 사람의 소리를 기호로 나타낸 표음문자로서, 음절을 닿소리와 홀소리로 나누고, 받침은 닿소리가 다시 쓰이게 함으로써 가장 경제적인 문자로 구성되어 있고, 음절구성의 원리가 간단하여 배우기가 쉬운 문자로 세계 언어학자들 사이에서 그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다. ‘한글’은 단지 한국인의 자랑거리가 아니라 인류의 위대한 지적유산이다. 영국의 샘슨(Geoffrey Sampson)교수는 “한글은 의문의 여지없이 인류가 만든 가장 위대한 지적 유산의 하나임에 틀림없다.”고 단언했고, 미국잡지 <라이프>의 밀레니엄 특집호에서 21세기를 맞이해서 지난 천년동안 일어난 가장 역사적인 일로 금속활자와 인쇄술 발명을 1위로 선정한 바 있다. 한글[훈민정음 해례본]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고 현재 국보 제70호로 지정되었는데, 사실 국보 1호는 남대문 보다야 ‘한글’로 바꾸는 게 맞을 것 같다.

‘훈민정음’은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으로 조선 초기 세종대왕이 지은 책의 제목이자 오늘날 한글로 불리게 된 한국어의 표기 문자 체계를 말한다. 1443(세종 25)년에 조선의 4대 왕 세종(世宗)대왕이 집현전 학자들의 도움을 받아 자음 17자, 모음 11자로, 모두 28자로 이루어졌다. 3년 동안 다듬고 실제로 써본 후, 1446년 음력 9월에 이를 반포했다. 이 때 [훈민정음 해례본]은 판각 원본으로 전권 33장 1책으로 되어 있고, 세종이 훈민정음 창제의 취지를 밝힌 서문인 예의(例義)와 정인지 등이 지은 해례와 정인지 서(序)로 되어 있다. 그러다 1940년 7월 <훈민정음해례본(解例本>이 발견되었다.

인사동 유물 발굴현장 장면

지난 7월, 서울 종로2가 YMCA(한국기독교청연연합)옆 골목길에서 승동교회 방향으로 공평구역 도시환경사업부지에서 400년전의 조선전기의 유물이 발견되었다. 세종-중종때에 제작된 물시계의 주전, 세종 때 만들어진 천문시계인 일성정시의, 중종-선조 때 만들어 진 것으로 보이는 총통 8점과 동종 1점 등이 발굴되었다. 더 놀라운 것은 6월에도 지표면에서 약 3m아래에 있는 곳에서 깨진 항아리 안에서 훈민정음 창제시기의 금속활자가 출토된 것이다. 사실 인사동은 서울의 전통 문화 예술의 거리로 알려진 곳인데 상전들의 장터나 민가의 창고 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렇게 조선 전기의 금속활자 1600여점이 출토되었다는 것은 실물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매우 고무적인 발견이다. 금속활자는 인류의 문명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는데, 이런 금속활자의 역사를 바꿀 수 있는 실물이 등장했다는 점이다. 흔히 금속활자의 발명을 이야기할 때 구텐베르크(Johannes Gensfleisch,1398년~1468년)를 떠올리게 되는데, 구텐베르크가 <42행성경>을 인쇄한 것은 1455년이다.

구텐베르크 성경

그런데 이번에 발견된 금속활자들은 구텐베르크의 성경보다 앞서 제조된 활자이면서 활자 중 가장 뛰어난 1434년 갑인자라는 점이다. 구텐베르크의 <42행성경>은 한 페이지가 42행씩 두 줄로 되어 있는 라틴어 성서로, 대략 180부가 인쇄되었고, 남아있는 인쇄도구와 활자가 구텐베르크 사후 약 100년의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반해 이번 출토된 금속활자는 인쇄도구인 활자와 인쇄물인 1377년 청주 흥덕사에서 간행된<직지(直指)심체요절>만하더라도 구텐베르크 <42행성경>보다 78년 앞선 1377년에 인쇄된 것이라 완전체가 된 셈이다.

1377년 최초로 인쇄된 금속활자본 직지심경

<42행성경>인쇄는 “고려의 금속활자인쇄술을 배워 제작했을 것”이라 영국 셰필드대학 존 홉슨(John. Hobson)교수는 '서구문명은 동양에서 시작되었다'에서 주장한다. 왜냐하면 세계최초의 목판 인쇄인 무구정광<대다라나경>이 통일신라시대인 706~51년 사이에 쓰여진 것으로 알리지기 때문이다. 특히 세종 때의 표기법이 반영된 활자들의 다량출토는 한글의 역사에도 큰 의미가 있는 보물이라고 할 수 있다. 모든 활자에서 이 동국정운식 표기법의 원칙들이 발견되었다. 세종대왕은 훈민정음 창제 후 한자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을 담은 <동국정운>을 집필했는데, 그 표기법이 바로 동국정운식 표기법이다. 이 표기를 인쇄해서 널리 쓰이게 하기 위해서 금속활자로 제작한 것이다. 이 정도면 세계 인쇄사를 바꿀만한 가치가 있다. 이번에 발굴된 활자의 1,600여 자 중 600여 자가 한글 활자다.

최초의 금속활자의 발명과 발견은 동시에 인쇄기술에 대한 논증을 뒷받침할 자료이자 정말 귀중한 유물인만큼 세계적으로도 그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도록 우리 모두가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고 응원해야 할 것이다.

'기독교'는 ‘한글’이라는 통로를 통해 우리 민족에게 전파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암클’, ‘아랫글’이라 불리며 무시당한 훈민정음은 갑오개혁 때 비로소 공식적인 나라 글자로 인정을 받았지만, ‘언문’이라는 이름으로 천대받고 있을 때, 기독교는 한글만으로 된 성경을 가지고 백성들에게 들어 왔다. 복음이 전파되는 곳에는 '한글'이 전파되며, '한글'이 전파되는 곳에는 '기독교'가 전파되는 인과관계를 가져왔다.

선교사들의 한글 접근과 이해는 인쇄 출판문화를 바꾸어 놓았다. 기독교 서지축면에서 보면 천주교는 한자와 한글 성경과 자료를 대원군 박해때 새남터에서 순교한 베르뉘(Berneux)주교가 저술한 목활자본 <텬쥬셩교공과(1862년)>, 다블뤼 안또니(Anthony)신부는 순한글 필서체 목판본인 <셩찰긔략(1864년)>과 <회죄직지(1864년)> <신명초행(1864년)> 등을 펴냈다. 연활자목판본 <성경직해(1892년)>도 1740년 북경에서 간행된 ≪성경광익≫(聖經廣益)을 한글본으로 인용 5년간에 걸쳐 9권으로 출판하였다.

1862년 발행된 쳔쥬셩교공과

개신교는 한글의 보급을 위해 말본, 사전 등의 연구와 출판에 더 주력하였고 금속활자 인쇄법을 사용하였다. 1880년대를 기점으로 신문 잡지의 편찬과 인쇄를 맡아보는 박문국(博文局)이 생기고 최초의 민영출판사인 광인사(廣印社)가 설립되었다. 서양의 활판인쇄술과 접목하며 이를 계기로 한글의 기초를 체계적으로 기술하므로 한글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하는 시기였고 대중화, 보편화하는 계기를 만들었다. 그런 사례로 볼 것 같으면 프랑스 선교사 프랑스인 다레(Claude-Charles Dallet, 1829년~1878년)선교사의 <조선교회사(1871년)>와 파리 외방선교회가 출판한 역사상 최초의 <한불자전(1880년)>그리고 만주에서 시작된 존 로스(John Ross,1842년~1915년)의 <조선어첫걸음(1877년)>은 <예수성교전서(1887년)>와 쪽복음으로, 일본에서 씌여진 이수정의 <현토신약성경(1887년)>으로 이어졌다. 또한 언더우드(Underwood, Horace Grant,1859년~1916년)의 <한영문법(1890년)>과 <한어자전(1890년)>으로 이어졌고, 게일((James Scarth Gale 1863년~1937년)선교사의 <한영사전(1897년)>등은 한글 체계화의 기초가 되고 한글 전파의 일익을 감당하였다. 그들의 한글사용이 오늘날 한글민족과 문맹제로의 국가를 만드는데 기초가 되었다. 한말, 더군다나 구식교육 즉 한문교육을 받지 못해 문맹에 있던 서민대중이 새로운 진리인 기독교의 성경을 접하므로 심령의 구원을 얻는 기쁨과 더불어, 한글을 깨치어 처음으로 글눈을 뜨고서 지식과 개화의 거듭난 기쁨을 동시에 체험하니 이는 세종대왕이 한글창제의 뜻이 실현된 것과 같다고 할 수 있다.

1887년 존로쓰가 발행한 예수셩교젼서

이렇게 한글은 성경과 찬송가뿐만 아니라, 쪽복음과 전도지 등에도 기독교의 복음전파에 필수적인 수단이 되었고 기산 김준근(金俊根,생몰년미상)의 삽화와 함께 출판된 소설 <천로역정(1895년)>등 기독교문학의 번역과 아펜젤러(Henry G. Appenzeller, 1858-1902)선교사의 <조선그리스도인 회보(1897년)>, <예수교회보(1910년)> 등 신문과 <신학월보(1900년)> 등 잡지를 내며 빠르게 대중속으로 파고들며 확장되었다. 초기 기독교의 모든 인쇄물도 대부분 한글만으로 된 것이었다. 그 당시 교회는 한글로 된 성경과 교과서 등 여러 한글책자의 출판을 통하여 민족을 계몽하고 근대화를 여는데 크게 기여했다. 선교 초기 언더우드와 게일선교사를 비롯하여 여러 선교사들은 한글의 과학적인 면과 우수성을 인식하고 이를 해외에 알리려 노력한 원조다. 그들의 연구는 한글의 가치를 널리 세계에 번역 소개할 것만이 아니라 완고한 한학자들에게도 이를 긍정하게 만들었고, 일반 대중에게 이 글의 효용성과 편리성을 깨우치게 하였다. 이렇게 한글이 교회 안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대중 속에서 자리하게 되자 한글에 대한 존중심과 한글을 지키려는 마음, 애국혼을 불어 넣었다.

한글은 우리 민족이 창조해낸 위대한 문자이며 디지털 강국 대한민국의 미래이다. 시대가 발전하고 세대가 바뀌면 사회적인 흐름에 따라 언어는 늘 자연스럽게 변화하는 것이 필요해 보이기도 하다. 글로벌시대인 지금 외래어의 사용이 필요한 부분도 없지는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한글의 가치를 제대로 알고 순우리말을 이해하고 익히는 노력이 없는 무조건적인 외래어와 신조어가 남발되는 우리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

다시 한글날을 맞으며 우리의 언어의 뿌리를 돌아보면 어떨까 싶다. 과학적이고 쉽게 배울 수 있는 위대한 언어인 한글을 모국어로 채택한 나라들이 늘어나고 있다. 그 이유는 프랑스 학생들이한국 문화와 한국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졌기 때문이라는데 ‘K-팝(Korea-Pop)’이라는 한류의 영향이 아니었을까. 한국 드라마의 인기로 인해 한국어에 대한 관심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전 세계적으로 문맹률 1% 미만의 유일한 나라 한국. 한글의 가장 큰 특징은 언제 어디서나 같은 소리를 낸다는 것이다. 이러한 한글의 특성 때문에 외국인들도 한글을 쉽게 배우고 쓸 수 있어 문맹률이 0%에 육박한다고 한다. 아름다운 우리말 한글을 올바르게 사용함으로 아름다운 한글의 매력에 더 빠져들 것을 기대한다.